리튬황 배터리 (Lithium-Sulfur Battery) 최대 난제 극복!, 한국전기연구원
> 박준우 박사팀, 탄소나노튜브 및 산소 작용기로 ‘리튬폴리설파이드’ 용출 억제 성공
> 1,000mAh급 고용량·대면적 파우치형 유연 전지 구현, 국제 저명 학술지 논문 게재
[선진상사는 # ESS 배터리 매입 # 리튬이온 배터리 매입및수거 # 전기차 배터리 매입 # UPS 배터리 철거 # 2차 폐축전지 폐기 # 골프카 폐기 # 전기자전거 배터리 수거 # 인산철 배터리 수거. 폐기합니다.
관련하여 상담을 원하시는 분은 010 3018 0141입니다.]
한국전기연구원, UAM 핵심 ‘리튬황 배터리’ (Lithium-Sulfur Battery) 최대 난제 극복!
> 박준우 박사팀, 탄소나노튜브 및 산소 작용기로 ‘리튬폴리설파이드’ 용출 억제 성공
> 1,000mAh급 고용량·대면적 파우치형 유연 전지 구현, 국제 저명 학술지 논문 게재
한국전기연구원(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 박준우 박사팀이 차세대 리튬황전지 상용화를 막던 난제를 극복하고, 대면적·고용량 시제품까지 만드는 데 성공했다.
양극(+)이 황, 음극(-)이 리튬금속으로 구성된 리튬황전지는 이론적인 에너지 밀도가 리튬이온전지의 8배 이상에 달할 정도로 잠재력이 높다. 또한, 고가의 희토류가 아닌, 매장량이 풍부한 황(S)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하고, 환경친화적이다. 리튬황전지는 가볍고 오래 가는 이차전지의 대표 주자로서, 도심형 항공모빌리티(UAM) 시대를 이끌어 갈 핵심 기술 분야로 손꼽힌다.
하지만, 리튬황전지는 충·방전되는 과정에서 ‘리튬폴리설파이드’라는 중간 물질이 생성(용출, shuttle)되는데, 이 물질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하며 불필요한 화학 반응을 일으켜 전지의 수명과 성능을 저하시키고, 상용화를 막는 가장 큰 원인이 됐다.
이에 박준우 박사팀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와 산소 작용기를 결합한 신기술을 제시했다. SWCNT는 강철보다도 센 강도 및 구리와 버금가는 전기 전도성을 지닌 미래 신소재이고, 산소 작용기는 SWCNT가 전지 내부의 다른 물질에 잘 분산될 수 있게 해준다. 이렇게 산소 작용기가 결합된 SWCNT는 충·방전 과정에서 팽창할 수 있는 전극을 안정적으로 감싸고, 리튬폴리설파이드의 용출 및 확산을 효과적으로 제어했으며, 결과적으로 활물질인 황의 손실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높은 유연성의 SWCNT와 친수성(친용매성)을 지닌 산소 작용기는 전극 제작 시 균일하고 매끄러운 표면을 구현할 수 있게 해줘 대면적·고용량 전지 설계도 가능하게 만든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50x60mm 크기의 유연한 후막 전극(thick electrode)을 만들 수 있었고, 이를 하나하나 잘 적층하여 1,000mAh(1Ah)급 파우치형 리튬황전지 시제품(prototype)까지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해당 시제품은 100회 충·방전을 거쳐도 용량이 85% 이상 유지되는 높은 성능을 보유하고 있다.
박준우 박사는 “우리의 기술은 SWCNT와 산소 작용기와의 결합을 통해 리튬황전지의 가장 큰 난제를 극복한 것은 물론, 대면적·고용량 유연 전극 설계 및 시제품 제작까지 달성한 종합적인 결과물”이라고 밝히며 “실제 산업 현장에 활용될 수 있을 정도의 기초 틀을 마련한 것으로, 차세대 리튬황전지의 실질적인 상용화 가능성을 연 큰 성과”라고 전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재료과학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저널인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논문이 게재됐다(제1저자 허준영 UST KERI 캠퍼스 박사과정, 공동교신저자 한중탁 박사, 교신저자 박준우 박사). 논문의 수준을 평가하는 ‘Impact Factor’는 14.3으로, 상위 7.18%에 속한다.
국내 특허 출원까지 완료한 KERI는 이번 성과가 도심형 항공모빌리티 및 항공·우주, ESS, 전기차 산업 등 차세대 리튬황전지가 필요한 기업들의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고, 수요업체를 발굴해 기술이전을 추진한다는 목표다.
한편, KER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이번 연구는 ‘글로벌 탑 전략연구단’ 사업(시장 선도형 차세대 이차전지 혁신 전략연구단) 및 KERI 기본사업으로 진행됐다.
선진상사는
사업장 비배출 시설계 폐기물 관련 허가업체로서
ESS 배터리 매입, ESS 배터리 수거, ESS 배터리 장비 철거합니다.
또한 리튬 이온 배터리 (Li-ion battery), 전기차 배터리 및 2차 폐축전지 , 2차 전지, 골프카 배터리, 전동공구 배터리, 전동킥보드 배터리, 전기자전거 배터리, 인산철 배터리 등 수거 전문처리 업체입니다.
대학교, 관공서, 병원, 호텔, 군부대, 국내, 외 전기차 관련기업, 발전소 등의 ESS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 전기차 폐배터리와 2차 폐축전지, ESS, UPS 배터리 매입 수거까지 숙련된 기술과 합리적 가격, 정직함으로 진행합니다.
* ESS 배터리 ( Energy Storage System , 에너지 저장장치)
* UPS 배터리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 ESS 배터리 매입 # 리튬이온 배터리 매입 및 수거 # 전기차 배터리 매입 # UPS 배터리 철거및수거 # 2차 폐축전지 폐기 # 골프카 배터리 수거 폐기 # 전기자전거 배터리 수거 # 인산철 배터리 수거합니다.
관련하여 상담을 원하시는 분은
010 3018 0141입니다.
ds2puw@hanmail.net
https://ganabattery.tistory.com
https://essrecycle.tistory.com/205
'ESS,UPS, 전기차 및 배터리 관련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통형 배터리의 진화는 46파이로 이어진다 (1) | 2025.02.02 |
---|---|
SES AI와 AISPEX, 텍사스 암호화폐 채굴 현장에서 100MWh BESS 제공을 위한 파트너십 체결 (3) | 2025.01.31 |
음극재 종류 알아보기 (0) | 2025.01.29 |
ESS 배터리 (0) | 2025.01.29 |
화재·폭발 걱정 없는 세계 최고 수준 고체가소제 기반 고체전해질 개발 (1)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