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UPS, 전기차 및 배터리 관련뉴스

초극박 리튬 금속 한계 돌파… 더 오래가는 배터리 시대 열린다

by 고물맨 2025. 4. 3.

초극박 리튬 금속 한계 돌파… 더 오래가는 배터리 시대 열린다

2025-04-01

- DGIST 유종성 교수팀, 부산대학교와 공동 연구로 초극박 리튬 금속 음극의 안정성 향상 기술 개발

 

[선진상사는 # ESS 배터리 매입 # 리튬이온 배터리 매입및수거 # 전기차 배터리 매입 # UPS 배터리 철거 # 2차 폐축전지 폐기 # 골프카 배터리 폐기 # 전기자전거 배터리 수거 # 인산철 배터리 폐기합니다.
관련하여 상담을 원하시는 분은 010 3018 0141입니다.]

[DGIST 에너지공학과 유종성 교수, 성종훈 박사과정생, 부산대학교 나노에너지공학과 강준희 교수, 이운환 석사과정생]

 

초극박 리튬 금속 한계 돌파… 더 오래가는 배터리 시대 열린다

2025-04-01

- DGIST 유종성 교수팀, 부산대학교와 공동 연구로 초극박 리튬 금속 음극의 안정성 향상 기술 개발

 

□ DGIST(총장 이건우) 에너지공학과 유종성 교수팀이 20μm 두께의 초극박 리튬 금속 음극의 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기존 리튬 금속 전지의 상용화를 가로막는 수명 및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해질 첨가제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 리튬 금속 음극(3,860 mAh g⁻¹)은 현재 널리 사용되는 흑연 음극(372 mAh g⁻¹)보다 10배 이상의 용량을 가지며, 낮은 표준 환원 전위를 갖춰 차세대 음극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충·방전 과정에서 리튬 금속이 덴드라이트 형태로 성장하며 전극 간 단락과 열 폭주를 유발해 수명과 안전성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부피 팽창으로 인해 고체 전해질 계면(Solid Electrolyte Interphase, 이하 ‘SEI’)이 반복적으로 손실·형성되면서 전해질이 급격히 소모되는 한계가 있었다.

□ 특히, 리튬 금속 전지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50μm 이하의 초극박 리튬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나, 두께가 얇아질수록 위와 같은 문제는 더욱 심화된다. 이에 따라 연구기관 및 산업계는 리튬 금속 음극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SEI 설계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전해질 첨가제를 활용한 SEI 형성 기술이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 기존 연구에서는 ‘불화 리튬(이하 ‘LiF’)’이 기계적 강도가 높아 ‘리튬(이하 ‘Li’)’ 금속 음극의 안정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점이 밝혀졌으며, 최근에는 ‘은(이하 ‘Ag’)’이 리튬과의 합금 반응을 통해 균일한 리튬 전착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됐다. 하지만, Ag와 LiF를 동시에 형성하는 단일 첨가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 이에 유종성 교수팀은 전해질 첨가제로 Silver Trifluoromethanesulfonate(AgCF₃SO₃, 이하 ‘AgTFMS’)를 도입하여 덴드라이트 성장과 낮은 사이클 수명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은 다양한 표면 분석을 통해 AgTFMS가 포함된 전해질을 사용할 경우 리튬 금속 표면에 Ag와 LiF가 동시에 형성됨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초극박(20μm) 리튬 금속 음극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으며, 덴드라이트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전지의 수명을 기존 대비 7배 이상 연장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검증했다. 또한, 부산대 강준희 교수 연구팀이 계산화학을 활용해 Li와 Ag 간의 상호작용 에너지를 분석하며 안정성 향상의 원인을 규명했다.

□ DGIST 유종성 교수는 “이번 연구는 초극박 리튬 금속의 한계를 극복하고, 리튬 금속 전지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며, “간단한 방법으로 성능이 우수한 SEI를 형성함으로써 리튬 전지의 수명과 효율을 동시에 만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리튬 금속 전지가 전기차, 무인기, 선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로 상용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2024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부산대학교 나노에너지공학과 강준희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로 진행됐다. 이외에도 공동연구원으로 DGIST 에너지공학과 홍승태 교수님, 부산대학교 화학과 유현덕 교수님 연구실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제1저자: DGIST 에너지공학과 성종훈 박사과정생, 공동저자: 부산대학교 이운환 석사과정생)는 세계적 학술지 ‘Advanced Energy Materials’에 게재됐다.

 

***  Silver Trifluoromethanesulfonate:

은(Ag)과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Trifluoromethanesulfonic acid, TfOH)의 음이온(OTf⁻)으로 이루어진 무기 화합물. 강한 친핵성 및 루이스 산 촉매로 유기 합성에서 자주 사용되며, 특히 카르보양이온 형성 반응과 금속 촉매 반응에 활용.

 

그 림 설 명

[Figure 1]

 

[(a) 첫 번째 사이클에서의 전압 거동 프로파일. (b) 율속 특성 시험 프로파일. (c) 사이클 특성 시험 결과. (d-f) 30 사이클 후 초극박 리튬 음극의 SEM 이미지 (g) 잔여 리튬 금속 양 측정 프로파일. (h) 타 문헌과 본 연구의 퍼포먼스 비교.]

 

[Figure 2]  

[(a) 전지 충전 시 리튬 금속 전착의 거동 삽화. (b-d) 0.1 및 (e-g) 2 mAh cm-2만큼의 용량 충전 후 리튬 금속 음극의 SEM 이미지. (h) 충전 후, AgTFMS 첨가제를 사용한 리튬 금속 음극의 Ag XPS 프로파일. (i) Li 및 Ag 격자와 Li 원자의 삽화. (j) Li-Li와 Ag-Li의 흡착 에너지.]

 

DGIST 에너지공학과 유종성 교수 프로필

 

ㅇ 성    명 :  유 종 성 (兪 宗 成 / Yu, Jong-Sung)
 ㅇ 현    직 :  DGIST 에너지공학과 교수
 ㅇ 연 락 처 :  053-785-6443, jsyu@dgist.ac.kr

 

학력사항 
 1990년           미국 휴스턴대학교 화학과 (박사)

 

주요경력
 2021년~2022년    미국 Columbia Univ. 방문 교수
 2015년~현재         DGIST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교수
 2008년~2015년    고려대학교 신소재화학과 교수
 2004년~2005년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 Research Fellow
 1998년~1999년    미국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Research Fellow
 1990년~1991년    미국 Ohio State University, Research Fellow

 

주요 학술 업적
◇  재료화학, 나노입자 및 나노구조체 제어, 다공성 소재 합성 및 기능화
◇  연료전지, 이차전지, 수전해 반응, 전기화학 산화 환원 반응, 광감응 소재, 센서 응용
◇  SCI 학술지 논문 게재 290여편, 국내외 특허 등록ㆍ출원 120 여편

 

주요 상훈
◇ 2021 DGIST 우수연구자 상
◇ 한국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20.01 – 현재)
◇ Editorial board of ACS Applied Nano Materials (22.01 – 현재)
◇ Editorial board of Carbon Research (16.03  - 현재)
◇ Editorial board of Frontiers in Fuel Cells (15.01 - 현재)
◇ Editorial board of Scientific Reports (Nature Co.) (15.01 – 현재)
◇ Editorial board, J. of Experimental Nanoscience (05.03-현재)
◇ Editorial board, Carbon Letter (05.01-현재)
◇ 2012, 2013 and 2014 Excellent Research Awards in Korea University  
◇ 2011 대한화학회 무기분과회 우수연구자상 (11.04)
◇ 2004 대한화학회 재료분과회 우수연구자상 (04.07)

 

선진상사는
사업장 비배출 시설계 폐기물 관련 허가업체로서
ESS 배터리 매입, ESS 배터리 수거, ESS 배터리 장비를 철거합니다.

​또한 리튬 이온 배터리 (Li-ion battery), 전기차 배터리 및 2차 폐축전지 , 2차 전지, 골프카 배터리, 전동공구 배터리, 전동보드 배터리, 전기자전거 배터리, 인산철 배터리 등 수거 전문처리 업체입니다.

​​대학교, 관공서, 병원, 호텔, 군부대, 항공사,국내 외 전기차 관련기업, 발전소 등의 ESS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 전기차 폐배터리와 2차 폐축전지, ESS, UPS 배터리 매입 수거까지 숙련된 기술과 합리적 가격, 정직함으로 진행합니다.

​* ESS 배터리 ( Energy Storage System , 에너지 저장장치) * UPS 배터리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 ESS 배터리 매입 # 리튬이온 배터리 매입 및 수거 # 전기차 배터리 매입 # UPS 배터리 철거및수거 # 2차 폐축전지 수거,폐기 # 골프카 배터리 수거 폐기 # 전기자전거 배터리 수거 # 인산철 배터리 폐기합니다.

​관련하여 상담을 원하시는 분은
ds2puw@hanmail.net
010 3018 0141입니다.

[선진상사의 미8군과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계약,하청업체 자료입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