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UPS, 전기차 및 배터리 관련뉴스265

정부, 20조원 넘는 자금으로 '반도체 생태계' 강화한다 정부, 20조원 넘는 자금으로 '반도체 생태계' 강화한다. 정부가 소재·부품·장비 등 반도체 관련 업종과 팹리스(디자인) 기업 육성을 위해 20조원 이상의 정책자금을 투입하겠다는 방안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저금리 대출 15조원, 펀드 1조원, 반도체 클러스터 인프라 구축 자금 등으로 구성된다. 이는 지난 5월 최상목 부총리가 '10조원+알파'라고 밝힌 '반도체 금융지원 프로그램'의 규모를 두 배로 늘린 것이다. 10. 정부 지원 방안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내년에 반도체 시설을 확충할 예정인 경기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대한 물·전력 등 기반시설 개선과 R&D 지원 등이 포함돼 있다. 이번 지원은 정책자금 대출뿐 아니라 정부자금, 공공기관 자금 등에서도 나올 예정이다.   5월 기획재정.. 2024. 5. 23.
SK온, 각형·LFP 배터리 준비 끝…“수요만 있다면 공급 가능” SK온, 각형·LFP 배터리 준비 끝…“수요만 있다면 공급 가능”파우치형 배터리만 생산해 오다각형을 더해 美시장 공략 노려리튬인산철 배터리 개발도 박차 그간 파우치형 배터리로 전기차 업체에 제품을 공급해 온 SK온이 미국 시장 진출에 발맞춰 각형 배터리 기술 개발도 끝낸 것으로 확인됐다.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뿐 아니라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역시 상당 수준 개발이 완료돼 수요만 있다면 공급이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그간 파우치형 배터리로 현대자동차·포드와 협력해 온 SK온은 각형 배터리까지 더해 미국 시장을 공략할 방침이다. 파우치형은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높은 에너지 밀도를 자랑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생산 원가가 높은 것이 단점이다. .. 2024. 5. 23.
2차전지의 필수품 ‘리튬’, 왜 중요할까? 모든 사물이 배터리로 움직이는 사물배터리(BOT) 시대가 도래했다. IT 산업을 시작으로 ESS, 전기차까지 그 영역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는 배터리 시장은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통해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래 에너지 산업의 핵심이 되는 2차전지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연재를 통해 자세히 풀어낸다. AI, IoT,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등 정보통신기기와 전기자동차 산업 분야 성장의 동력원으로 ‘이차전지’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전 세계 기업들은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는 2차전지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하고자 기술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2차전지는 한 번 사용하고 나면 재사용이 불가능한 1차전지와 달리, 방전이 되면 충전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부.. 2024. 5. 21.
배터리 성능을 올려라! ‘양극재’ A to Z 모든 사물이 배터리로 움직이는 사물배터리(BOT) 시대가 도래했다. IT 산업을 시작으로 ESS, 전기차까지 그 영역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는 배터리 시장은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통해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래 에너지 산업의 핵심이 되는 2차전지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연재를 통해 자세히 풀어낸다.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는 소형전지 중심의 2차전지 산업은 전기자동차(EV), 에너지저장시스템(ESS)용 중대형전지를 생산하면서 그 위상이 크게 변화했다. 더불어 ‘전동화·무선화·친환경화’이라는 글로벌 트렌드의 부상으로 성능이 우수한 2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다. l 리튬이온배터리 구조와 작동 원리 현재 배터리의 주류로 자리 잡은 리튬이온배터리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4가지 요소로.. 2024. 5. 21.
하이니켈 배터리로 보는 미래 먹거리 모든 사물이 배터리로 움직이는 사물배터리(BoT) 시대가 도래했다. IT 산업을 시작으로 ESS, 전기차까지 그 영역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는 배터리 시장은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통해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래 에너지 산업의 핵심이 되는 2차전지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연재를 통해 자세히 풀어낸다. l 주행성능이 향상된 배터리 등장불과 몇 년 전과는 달리 요즘 도로에서 전기차를 종종 볼 수 있다. 최근 출시된 전기차들은 1회 충전에 평균 300km까지 운행이 가능하며, 하루가 다르게 주행거리가 계속해 늘고 있다. 멀지 않은 시대에 1회 충전으로 평균 600km 이상 주행하는 전기차 시대는 곧 도래할 것이다. 하이니켈, 하이니켈 , 하이니켈 , 하이니켈 , 하이니켈 , 하이니켈 , 하이니켈, 하이.. 2024. 5. 21.
Next Level로 각광받는 실리콘 음극재 모든 사물이 배터리로 움직이는 사물배터리(BoT) 시대가 도래했다. IT 산업을 시작으로 ESS, 전기자동차까지 그 영역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는 배터리 시장은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통해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래 에너지 산업의 핵심이 되는 2차전지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연재를 통해 자세히 풀어낸다. l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소재, ‘음극재’배터리 산업의 메가 트렌드는 크게 세 가지로 말할 수 있다. 바로 배터리의 장수명화,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한 고속 충전, 주행가능거리 확대를 위한 고용량화이다. 지난 시리즈에서 다뤘던 양극재가 전기차의 주행거리와 배터리 출력을 좌우한다면, 양극재만큼이나 전기차 배터리에서 중요한 소재가 바로 음극재다. 전기차 배터리의 충전 속도와 수명을 결정하기 때문이다.배.. 2024. 5. 20.

TOP

Designed by 티스토리